인터넷단자함, 공유기 2대 연결 작업하기 Part 2
.Tip이전글 참고 (인터넷단자함, 공유기 2대 연결 작업하기 Part 1, http://ssami.tistory.com/471)
[작업내용]
1. 인터넷단자함 설정 (단자함내 선들 연결하기, 공유기 설치하기) ==> 지난 글
2. 방 및 거실에 '공유기' 설정 (각 공유기들 설정하기) ==> 본 포스트
집 네트워크 구성도
방4개, 거실로 이루어진 아파트 이며, 1) 인터넷단자함에 유선공유기 1대 설치 하고 2) 각 방마다 벽에 있는 '전화/인터넷단자'들에 전화선/인터넷선 연결 하고 3) "거실"과 "침실3"에는 유무선공유기를 1대씩 놓을 예정이다. 4) 그래서 동일 네트워크 묶여있어서 서로 공유 (프린터, NAS 등)가 가능하게끔 하려한다. (그냥 쉽게, 같은 IP 대역 192.168.1.x 로 사용하려는 것이다)
|
지난번 포스트에서, 인터넷 단자함내 공유기를 설치하여, 방 및 거실내까지 인터넷을 연결하였다.
또한, 제목에는 공유기 2대라 하였지만, 그림에서 보듯 공유기 3대 (인터넷단자함 1대, 방 1대, 거실 1대) 를 연결하였다.
2. 방 및 거실 공유기 설정하기
|
여기서 목적은 위에서 말했듯이, 집안 네트워크가 동일 네트워크 내 있어야 하는 것이다.
IP 들이 "192.168.1.x" 이런식으로 ..그래야 서로 공유가 원할히 된다
[작업할 내용]
1) 공유기들 물리적 연결 하기
2) 공유기 관리화면에서 설정 하기
* 공유기 1번 (인터넷단자함)
A. 물리적인 연결
※ 단자함내 공유기 사진 (지난 포스트 내용) 인터넷단자함에 설치하여, 1) 단자함 내 "입력(국선) 4개선 (흰주/주/흰녹/녹)" ==> 공유기 1번 [WAN] 포트 연결, 2) 단자함 내 거실/ 침실 등 "4개선(흰주/주/흰녹/녹)" ==> 공유기 1번 [LAN] 포트 각각 연결 LAN4 , LAN3, LAN2, LAN1 모두 방과 거실에 연결해놓은 것이다. |
B. 환경설정
※ Netis 로 설명 공유기 1번의 내부 IP는 "192.168.1.1"로 되어있을 것이다. 관리화면으로 들어가서 "내부 네트워크 설정" 으로 간다. - 공유기 IP 주소 : 192.168.1.1 (기본 세팅) - DHCP : 사용 - IP 주소 범위 : 192.168.1.2~192.168.1.254 (기본 세팅) |
* 공유기 2번(거실), 3번 (침실)
A. 물리적인 연결
※ 공유기 2번 뒷면 모습 WAN은 사용하지 않고, 벽 포트와 LAN (아래는 노란색 1~4)과 연결한다. 참고) 공유기들 '기본 세팅'이 있기 때문에, 공유기 설정을 하고 나서 인터넷 연결 (벽 포트 <-> 공유기) 을 해주는 것이 좋다. 즉, 아래 [파란색]만 연결해서 설정해주고, 설정이 끝나면 [빨간색]도 연결해서 '인터넷단자함'과 연결해 주는 것 |
B. 환경설정
공유기들은 일반적으로 공유기에 연결한 기기 (PC, 스마트폰)에 IP를 자동으로 할당 (DHCP기능)한다.
그런데, 여러 공유기들이 서로 IP들을 할당하면, IP충돌이 나서 네트워크를 못 쓰는 상황이 온다.
따라서, 공유기 1번 (인터넷단자함 내)만 DHCP 기능을 사용하고,
나머지 공유기들은 'AP모드 (허브 모드)' 로 DHCP기능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AP로 사용, 또는 허브모드로 사용하기 공유기 설정에서 1) IP 설정하기, 2) DHCP기능을 끈다 (일부 공유기에서는 AP모드라는 메뉴 제공함) (공유기 2번) - netis 제품 "공유기 2번" 192.168.1.100 으로 할당하였다. DHCP 사용 하지 않음 체크! (공유기 3번) - ASUS 제품 AP 모드로 설정 IP주소는 192.168.1.200, GW는 192.168.1.1 로 설정 |
참고) iptime 제품 iptime 제품은 안쓰고 있어서 , iptime 고객지원 사이트 참고 http://iptime.com/iptime/?page_id=67&uid=18119&mod=document
|
작업이 끝났으면, 벽 <-> 공유기 2번, 3번 등 연결하면 집 어디서나 인터넷 편하게 사용가능하다!!!
3. 참고
netis => 공유기 1번 (인터넷단자함) 이고, 그림에서 ASUS_RT 라고 되어있는 것이 공유기 2번 (192.168.1.100)이다 |
B. 무선 AP 사용, MAC 관리
공유기2번, 3번을 무선 AP 기능을 켜놔서 몇가지 설정을 하였다.
둘 다 무선 AP 기능을 쓸 수 있는데 SSID 설정, 비밀번호는 기본으로 하였다고 가정하고...
첫째. 무선 보안
SSID / 비번 설정, 무선 사용할 수 있는 MAC 필터
집안에 아이들이 있어서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제어가 필요하다면 다음처럼 할 수 있다.
[침실3] 에 자녀가 있고, 밤 10시 이후 스마트폰 못쓰게 하고 싶다
1) 무선 MAC 제어를 통해서 필터링을 해준다. 허용 또는 차단 2) 접속제어로 가서 "MAC주소"로 규칙 설정 (시간/ 요일 등) |
둘때. 무선 채널
집에 여러대 공유기를 놓았기 때문에 혹 채널 간섭 있을까봐 강제로 채널을 설정하였다
참고) http://brainage.egloos.com/5478533
공유기 2번 ==> 무선채널 1 공유기 3번 ==> 무선채널 9 |
이상!
댓글을 달아 주세요
흐응
그렇게 설치할시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가능 한가요?
네..인터넷은 모두 됩니다.
사시미킹
저도 작성자분처럼 하고싶은데요.
궁금한게 있는데요
작성자분 기준으로 아수스공유기에
유선pc 인터넷사용중 무선인터넷 동시 사용이 가능한가요? 허브모드 사용하면 무선이랑 동시에 인터넷이 안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요..
제가 갖고 있었던 공유기들 - Belkins, IPTime, ASUS, NETIS - 는 모두 가능했었습니다.
나겨비
사무실에서 lg u+쓰는데 유동ip에 스위칭허브 달고, 포트마다 하나씩 공유기를 두 대 달 수 있을까요? 공유기마다 192.168.10.1, 192.168.1.1로 해서 이름이 다른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나요? 사용자 한 50명 되어서 공유기로 두 대하면 네트워크가 더 빨리 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에 시도해보려고요. 답이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