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19)
-
SQL)강의- 제 11 장 데이터 조작(DML)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11.htm ♣ 데이터 조작 명령어와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 ◈데이터 조작어(DML)는 SQL의 핵심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추가, 변경, 삭제를 하려할 때 DML문을 사용한다. ◈아직 commitehlwl 않은 DML문의 집합을 트랜잭션 또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라 한다. 명 령 설 명 INSERT 테이블에 새로운 행 추가 UPDATE 테이블의 행 변경 DELETE 테이블의 행 삭제 COMMIT 저장되지 않은 모든 변경사항을 DB에 저장 SAVEPOINT Savepoint 설정 ROLLBACK 저장되지 않은 모든 변경사항을 취소 1. 테이블에 새로운 행 삽입(INSERT) ◈INSERT문을 써서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한다..
2008.04.11 -
SQL)강의- 제 10 장 Oracle Data Dictionary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10.htm 1.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 개요 ◈Oracle 데이터 사전은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면 자동으로 생성된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작업이 있으면 Oracle7 server가 데이터 사전을 갱신하고 유지보수한다. ◈모든 데이터 사전 테이블은 SYS사용자가 소유한다. 이러한 테이블의 정보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직접 엑세스하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데이터 사전의 정보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데이터 서전 뷰라는 형태로 제공된다. ♣ Oracle7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테이블 설 명 사용자 테이블 사용자가 만들고 사용하는 테이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저장한다. Data Dictionary Oracle이..
2008.04.11 -
SQL)강의- 제 9 장 테이블 생성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09.htm 1. 테이블 생성 ♣ 데이터 구조 구 조 설 명 Table 데이터 저장 View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 부분집합에 대한 논리적인 표현 Index 일부 Query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한 색인 파일 Sequence Primary Key 를 일정한 값으로 생성 ♣ Oracle 테이블 구조의 요약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에서 구조를 정의한다. ◈어떤 시점에서도 작성할 수 있다. ◈테이블의 크기를 명시할 필요가 없다. 크기는 데이터베이스에 할당된 공간 전체로 한정된다. 하지만 얼마만한 공간을 테이블이 사용할 것인지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블 구조는 수정할 수 있다. CREATE TABLE [스키마.] 테이블 ..
2008.04.11 -
SQL)강의- 제 8 장 변수 사용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08.htm 1. 치환 변수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사용자에게 입력값을 요구한다. ◈ SET VERIFY 명령 : SQL*Plus가 치환변수를 값으로 바꾸기 전후의 값을 Display한다 ♣ 단일 앰퍼센드 치환 변수 ◈SQL*Plus는 사용자 변수를 써서 반환되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제한한다. ◈SQL문장에서 변수를 식별하기 위하여 앰퍼센드(&)를 사용한다. ◈각 변수의 값을 정의할 필요는 없다. ◈일시적으로 값을 저장하기 위해 SQL *Plus의 치환변수를 사용한다. 표기법 설 명 &user_variable SQL문장의 변수. 변수가 없으면 SQL *Plus는 사용자가 변수값을 쓰도록 프롬프트를 나타낸다. 명령이 실행될 때마다 입..
2008.04.11 -
SQL)강의- 제 7 장 subqueries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07.htm 1. Nested subquery 처리방법 ◈SELECT 문장은 Query Block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아래 예는 두개의 query block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main query와 inner query가 그것이다. ① Nestd SELECT 문장이 먼저 실행된다. ② 결과가 main query의 조건으로 전달한다. ♠실습 : Smith와 같은 부서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의 성과 직급을 검색한다 SQL> SELECT last_name,title FROM s_emp WHERE title = (SELECT title FROM s_emp WHERE last_name = 'Smith'); 2. 단일행 Subquery ◈단일..
2008.04.11 -
SQL)강의- 제 6 장 GROUP 함수
출처 : http://naver.kaist.ac.kr/oracle_sql/s06.htm 1. 그룹함수 ◈그룹함수는 그룹당 하나의 결과를 return한다. ◈그룹함수들은 SELECT 및 HAVING절에 쓸 수 있다. ◈SELECT 문장상의 GROUP BY절은 행들을 그룹화한다. ◈ HAVING절은 그룹을 제외한다. ♣ Syntax SELECT column,group_function FROM table [WHERE 조건] [GROUP BY group_by_expression] [ORDER BY column]; ♣ 그룹함수 함 수 설 명 AVG(distinct|all|n) NULL값을 제외한 n개 행의 평균값 COUNT(distinct|all|expr|*) 행의 개수. expr은 NULL값이 아닌 것을 평가한..
2008.04.11